· 해양수산부 정책 ·

극지과학 미래발전전략 -극지연구 선도국 도약을 위한 4대 추진전략 (2020)

2020.12.11

43755 hits

 

 

극지과학 미래발전전략(요약)

 

 

1. 추진배경

 

극지는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최적지로, 북극 해빙으로 북극항로 활성화, 수산자원 확보 등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극지과학 연구 필요성 증대

 

우리나라도 극지연구소를 설립(’04)하고, ·북극 과학기지 설치, 아라온호를 건조(’09)하여 남·북극 연구를 추진 중이나,

 

북극 저위도 등 연구 범위제한적이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 성과와 체계적인 지원 기반미흡한 상황

 

기존 극지연구에서 벗어나 국가와 국민의 요구 부응하고 극지연구의 한단계 도약을 위한 극지과학 미래발전전략수립 추진

 

2. 국내·외 주요 동향

 

(국제 동향) 과학연구를 통한 영향력 확대를 위해 국제공동연구*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대규모 인프라 구축** 등 국가차원의 투자 강화

 

* 북극해 환경변화 관측 공동연구(MOSAiC 프로젝트 / ,,한 등 20개국 참여/ ’19’20), 스웨이트 빙하 붕괴 연구(,,/ ’19)

 

** 해외 쇄빙연구선 현황: 3(3척 추가 건조중), 4, 2, 1(1척 추가 건조 중)

 

(국내 동향) 극지연구소정부 R&D, 출연금 등의 재원으로 기초·응용연구를 수행 중이며, ··네트워크 구축 등 협력을 확산하는 추세

 

(성과) 한반도 기후변화 원인 규명, 2형 당뇨병 치료제 등 극지 미생물의 유용물질 추출을 통한 신소재 발굴하는 등 연구 성과 창출

 

* 세계 최고 기술보유국(미국)과의 기술격차 감소((’10)9.8(’16)7.2)

 

(한계) 연구 지역이 북극저위도 해역, 남극 연안에 국한되어 있고,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은 상황

- 아라온호의 남·북극 동시 투입으로 연구운항일수 부족하며, ·북극을 포괄하는 기본법, 기본계획 부재하는 등 제도적 기반 미흡

 

3. 추진전략

 

극지과학연구 성과 제고

 

(국민체감형 연구 확대) ·북극 고온현상으로 인한 한반도 이상기상 예측*, 해수면 상승 분석** 기후예측시스템 구축

 

* 북극 기후 변화에 기인한 한반도 재해기상 모델링 시스템 개발(‘20’22)

** 서남극 스웨이트 빙하 돌발 붕괴가 유발하는 해수면 상승 예측(’19’22)

 

(실용화 연구 확대) 극한지에서 운용 가능 첨단 기술(로봇, 통신, 데이터처리기술)* 개발(~’25)하고 극지연구 분야 장비 개발 확대

* 다부처특위에서 공동기획 사업에 최종 선정(‘19.2)되어 해수부, 과기부, 산업부 참여

 

-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극지 생물의 유전자원을 활용하여 의약소재* 및 얼음특성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 실용화 연구 추진

* 항생제 후보물질 개발(`24), 항치매 치료제 실용화 연구(`24)

 

(비즈니스 발굴) 북극항로 활성화에 대비한 북극 원주민과의 협력 강화* 북극해 수산*·해저자원 조사 등 과학 연구 수행

 

* 미래 우호세력 형성을 위한 북극 원주민 장학지원 사업 신규 추진(‘21~)

 

** 북극해, 인근 해역의 연간 어획고는 전 세계 수산물의 37%를 차지하며, 북극해 공해 비규제어업 방지협정에 따라 과학적 기여에 비례해 향후 수산자원에 대한 영향력 확보 가능

 

???? 미지의 극지 과학영토 확대

 

(북극 고위도 진출) 미지·미답 영역인 북극 중앙공해 진출을 위해 강화된 쇄빙능력을 가진 차세대 쇄빙연구선* 확보(’26, 예타 추진 중**)

 

* 1.5m/3노트 / 3,250/ 15,450/ LNG·디젤 엔진 장착

** 예타 신청(’20.8) 예타 조사 적합 사업 판정(’20.9) 본 예타 수행(‘20.10~’21.4)

 

-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활용하여 북극해 기반 국제공동연구(생물관측, 기후생태계관측 등)의 참여를 확대하고 선도 프로젝트 발굴

 

(남극 내륙연구 확대) 독자적 내륙루트(K-Route) 개척(’22)을 통해 최적연구지점 확보 및 극한기술 개발, 천문관측 등 다학제 연구 추진

 

* 고단열 컨테이너 및 크레바스 도하용 브릿지 개발, 남극내륙 태양방사선 측정 장비 운영 등

 

극지과학 개방형 협력체계 구축

 

(개방형 연구체계) ··연의 현장 연구 수요를 반영*하기 위한 극지 인프라 공동활용위원회를 구성하여 인프라 개방성 확대 추진

 

* ’21년 아라온호 공동활용 수요조사 결과 46개 과제 접수, 8개 지원사업 선정

 

(인프라 개방) 연구 실험공간 제공을 위한 극지환경 재현 실용화 센터*를 건립하고, 통합 정보플랫폼 구축을 통해 데이터 접근성 제고

 

* (기간/위치/내용) ’19’22 / 인천 송도 / 극지환경 재현 공간, 극지시료 등 제공

 

(국제 거버넌스) 러시아, 캐나다 등 북극권 국가와의 협력 의제 지속 발굴하고 덴마크, 중국 등 극지협력 MOU 체결 추진

 

* 외교부 북극협력대사를 수석대표로 하는 우리나라-북극권 6개국 간 양자 정례회의(1)

 

- 북극권 국가들과의 정치, 경제, 과학 등 분야별 협력의제 발굴 및 성과 공유를 위한 북극협력주간 개최(매년)

 

* ’20년 북극협력주간(12.7~11/부산)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북극협력을 주제로 개최되며, ‘-러 수교 30주년을 맞이하여 러시아 관련 특별 세션 운영 예정

 

극지과학 발전 지원기반 구축

 

(인적 역량 강화) 극지 연구자 양성을 위한 극지과학 석박사 과정(UST) 및 학·연 극지연구 진흥프로그램(PAP) 인력양성 프로그램 확대

 

- 다양한 산··연의 연구진이 극지 자원을 활용한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자유공모과제(Open innovation)* 사업 신규 추진

 

* 연구자들이 창의적인 연구주제를 제안하고 평가를 통해 지원받는 자유 공모형 사업

 

- 미래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제공하고 극지체험전시회, 토크콘서트 등 극지 대중 인식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

 

(제도적·정책적 기반 강화) ·북극에서의 과학연구 및 산업 육성 등 종합적 정책 지원을 위한 극지활동진흥법*제정 기본계획 수립

 

* (주요내용) 기본계획 수립, 연구개발 지원, 북극 산업 진흥, 전문인력 양성 등

 

- 체계적인 극지활동 진흥을 위한 해수부 내 극지전담조직을 신설하고 극지연구소 성과 강화를 위한 극지연 기능 재정립 추진